주역의 mime 구조 (1)

by 문화촌 posted Oct 11,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역의 mime 구조 1-211011.hwp

 

 

 

* 위의 글에 아래의 문장을 추가할 것 (1):

殷代人(은대인: 나라 시대의 사람들), 특히 통치자 귀족들은 무슨 일을 만나면 모두 거북점으로써 길흉을 살폈다. 그들은 거북껍질을 점의 도구로 사용했다. 점을 칠 때 우선 묻고자 하는 문제를 상정한 다음 거북껍질 위에 칼로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주위를 불에 굽는다. 그러면 구멍 주위로 많은 균열이 생기는데, 이 균열들을 兆朕(조짐)”이라고 했다. 점을 관장하는 관리는 이 균열들을 근거로 몇 마디 말을 하면서 묻는 일의 길흉을 단정한다. 이때의 말들을 占辭(점사)”라고 했다. 8괘는 조짐을 모방한 것이다. 바로 8괘와 64괘는 표준화된 조짐이고, 괘사와 효사는 표준화된 점사였다. 주역은 바로 이 표준화된 것들로 구성된 한 권의 책이다. 이 책이 있으면 거북껍질을 써서 점을 치지 않아도 되었으니, 단지 50개비의 풀대를 써서 여러 배열을 만들어 일정한 수를 얻고, 그 일정한 수로부터 아무 괘, 아무 효를 얻어냈다. 그런 다음 해당 괘사, 효사로부터 묻는 일의 길흉을 알았다. 이런 방법이 蓍草占 (시초점)”이다. <풍우란 지음, 박성규 옮김 중국 철학사() (서울, 까치, 1999) 600.>

 

* 위의 글 첫번째 항인 '짓(象)'에 추가할 자료 (2):

이란 성인이 객관 사물의 번잡한 현상[天下之賾]을 관찰하여 그 형상을 모방하고 사물의 본질을 본뜬[] 것이다. 그래서 이라고 했다. <夫象 聖人有以見天下之賾 而擬諸其形容 象其物宜 是故謂之象: 繫辭傳() 12>

은 객관 사물의 복잡한[] 상황의 모사(模寫: 摹擬)이고, 객관세계의 形象(형상)이다. 그러나 모사와 형상은 결코 사진처럼 찍거나 그림처럼 그린 것이 아니라, 일종의 부호이다. 부호로써 사물의 이치[]”를 나타낸다. 64괘와 384효는 모두 그런 부호이다. 그것들은 마치 (기호) 논리학에서 말하는 變項(변항)과 흡사하다. <풍우란 지음, 박성규 옮김 중국 철학사() (서울, 까치, 1999) 618~619.>

 

Who's 문화촌

profile

시민문화예술협회 상임대표 | 장익수커피학교 대표

N뉴스통신 본부장 | 남양주시니어신문 이사 | 위즈덤미디어 공동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