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1.10.11 11:10

주역의 mime 구조 (1)

조회 수 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역의 mime 구조 1-211011.hwp

 

 

 

* 위의 글에 아래의 문장을 추가할 것 (1):

殷代人(은대인: 나라 시대의 사람들), 특히 통치자 귀족들은 무슨 일을 만나면 모두 거북점으로써 길흉을 살폈다. 그들은 거북껍질을 점의 도구로 사용했다. 점을 칠 때 우선 묻고자 하는 문제를 상정한 다음 거북껍질 위에 칼로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주위를 불에 굽는다. 그러면 구멍 주위로 많은 균열이 생기는데, 이 균열들을 兆朕(조짐)”이라고 했다. 점을 관장하는 관리는 이 균열들을 근거로 몇 마디 말을 하면서 묻는 일의 길흉을 단정한다. 이때의 말들을 占辭(점사)”라고 했다. 8괘는 조짐을 모방한 것이다. 바로 8괘와 64괘는 표준화된 조짐이고, 괘사와 효사는 표준화된 점사였다. 주역은 바로 이 표준화된 것들로 구성된 한 권의 책이다. 이 책이 있으면 거북껍질을 써서 점을 치지 않아도 되었으니, 단지 50개비의 풀대를 써서 여러 배열을 만들어 일정한 수를 얻고, 그 일정한 수로부터 아무 괘, 아무 효를 얻어냈다. 그런 다음 해당 괘사, 효사로부터 묻는 일의 길흉을 알았다. 이런 방법이 蓍草占 (시초점)”이다. <풍우란 지음, 박성규 옮김 중국 철학사() (서울, 까치, 1999) 600.>

 

* 위의 글 첫번째 항인 '짓(象)'에 추가할 자료 (2):

이란 성인이 객관 사물의 번잡한 현상[天下之賾]을 관찰하여 그 형상을 모방하고 사물의 본질을 본뜬[] 것이다. 그래서 이라고 했다. <夫象 聖人有以見天下之賾 而擬諸其形容 象其物宜 是故謂之象: 繫辭傳() 12>

은 객관 사물의 복잡한[] 상황의 모사(模寫: 摹擬)이고, 객관세계의 形象(형상)이다. 그러나 모사와 형상은 결코 사진처럼 찍거나 그림처럼 그린 것이 아니라, 일종의 부호이다. 부호로써 사물의 이치[]”를 나타낸다. 64괘와 384효는 모두 그런 부호이다. 그것들은 마치 (기호) 논리학에서 말하는 變項(변항)과 흡사하다. <풍우란 지음, 박성규 옮김 중국 철학사() (서울, 까치, 1999) 618~6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23 헤겔의 변증법으로 검증한다 file 2022.02.03 9
122 탄허 스님의 통일 예언 file 2021.10.25 14
121 주역평화게 全文 file 2021.10.15 14
120 주역이란? file 2021.10.11 30
119 주역의 평화적 이행 경로 file 2021.10.25 10
118 주역의 평화과정에 들어가며 file 2021.10.25 4
117 주역의 여성 폄하 file 2021.11.09 16
116 주역의 第3項 file 2021.11.17 16
115 주역의 君子•小人 file 2021.10.28 10
114 주역의 mime 구조 (3) file 2021.10.11 12
113 주역의 mime 구조 (2) file 2021.10.11 12
» 주역의 mime 구조 (1) file 2021.10.11 25
111 주역의 Gewalt (2) --- 몇 가지 용법에 관하여 file 2021.11.17 5
110 주역의 Gewalt (1) --- 들어가는 말 file 2021.11.17 7
109 주역의 ‘勞’ file 2021.12.03 9
108 주역의 Gewalt file 2021.12.20 5
107 주역으로 푸는 한반도 평화통일 file 2021.10.25 15
106 주역과 전쟁 file 2021.10.11 18
105 주역과 변증법 1-들어가는 말 file 2022.02.03 20
104 주역 멘토 file 2021.10.11 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